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M(Product Manager)란 무엇일까?
    PM(Product Management)/프로덕트 간단 분석 2021. 11. 22. 20:53

    PM 직무라고 하면 프로덕트 매니저가 아닌

    업무의 일정관리를 담당하는 '프로젝트 매니저'를 많이 떠올린다.

    IT업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직종이지만,
    AE에서 PM으로 커리어 전환을 하고 싶다고 말했을때
    대부분 어떤 일을 하는지 혹은 어떤 직업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았다.

    오늘은 현재 채용 중인 공고를 확인하고

    프로덕트 매니저가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 지 알아보고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에 대한 나의 생각을 써보려 한다. 

     


    프로덕트 매니저(PM)란 무엇일까?

    모두의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이 한 줄로만 설명되어있다.

    "프로덕트 매니저(제품 매니저, Product manager)는 조직내에서 제품 개발에 관련된 연구, 선택, 추진 등의 제품 관리 활동을 하는 전문가"

    한줄로는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는 것 같지만 정확히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는 설명해주지 못하는 것 같다.

     

    나는 최근 액세서리 커스텀 플랫폼을 토이프로젝트로 기획해보고 있었기에,
    패션 분야 / 디자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채용 공고를 알아봤다.

    현재 진행 중인 PM/PO 채용 공고

    구분 트렌비 미리캔버스 딜리셔스(신상마켓)
    채용 직무명 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PO)
    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PO)
    PM(서비스 플랫폼)
    주요 업무 • 트렌비 서비스 & 관리자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사용자 & 관리자를 위한 UI Workflow 등 end to end 프로덕트 설계
    프로덕트 상세 요구사항 정의 & 개발/UX 협업 통해 구현
    • 프로덕트 전략 달성을 위한 성과 지표 분석/수립/측정
    • 타 부서와의 요구사항 협의 & 진행 관련 커뮤니케이션
    급성장 중인 미리캔버스의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업무를 담당합니다.
    • 중심 역할로서 상하좌우 적극적인 소통 및 의사결정을 이끕니다.
    고객의 불편함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고객에게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서비스 관련 OKR 수립 및 실행을 담당합니다.
    •신상마켓 플랫폼/서비스 개선 및 신규 기능 기획
    • ‘신상마켓’ 플랫폼 및 개별 서비스들의 Product-market fit 달성을 위해 다양한 실험을 기획
    • 사업 확장에 따른 신규 프로덕트 기획 및 구현
    • 트렌드 조사 분석, 개선 아이디어 도출
    • 도소매간 유저 시나리오 정의 및 유저 니즈 도출
    • [커머스플랫폼] 회원가입/주문/배송 등 이커머스 프론트/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기획과 설계, PM 업무 담당
    • [정보/연결플랫폼] 상품 정보 관리/탐색/추천/소비 등의 서비스에 대한 기획과 설계, PM 업무 담당
    • [Growth] 정량/정성 데이터 분석을 통한 프로덕트 개선 영역 도출, Product-market fit 개선을 위한 빠른 사이클의 실험 설계 및 가설 검증
    자격 요건 3년 이상의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경험이 있으신 분
    데이터 기반의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역량을 가지신 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 협업이 가능하신 분
    우수한 구두 & 서면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보유하신 분
    • 커머스 플랫폼, Web / Ap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으신 분
    • UX, 개발에 대해 전문가들과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수준의 이해도를 가지신 분
    • 한국어 능통하신 분
    • 프로덕트 매니저로서의 역량 (비전 제시, 목표 달성 능력, 소통 능력, 우선순위 및 일정 관리)
    • GA 등 데이터 기반의 분석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이 있으신 분
    디자인씽킹, 애자일, 린스타트업 기반 업무 추진 경험이 있으신 분
    • 상용 서비스 출시 및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 논리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이 있는 분
    • 스스로 목표와 전략을 설정하고 논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협업이 가능한 분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훌륭한 결과를 이끌어낸 경험이 있는 분
    • PM 및 서비스기획 3년 이상 경험자
    우대 사항 Figma를 활용한 화면 기획 경험을 보유하신 분 (UX Flow, 상세 기능 정의 등)
    • 패션 커머스, 혹은 명품 커머스 도메인에서의 PO / PM 경험을 보유하신 분
    Jira, Slack, Notion 등의 도구를 능숙하게 사용 가능하신 분
    • Google Analytics, Amplitude 등의 App 통계 서비스를 능숙하게 사용 가능하신 분
    • 스타트업에서의 업무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
    • E-Commerce 도메인 및 비즈니스 프로젝트 경험
    • 온라인 디자인&프레젠테이션 제작 툴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계신 분
    • 창업 혹은 스타트업에서 주도적으로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으신 분
    • 전문 버티컬 플랫폼 혹은 주요 쇼핑몰에서 기획 경험이 있으신 분
    • e커머스/패션시장의 생태계와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
    UX설계 및 사용자플로우 분석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 분
    • [커머스플랫폼] 플랫폼 기획/물류솔루션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
    • [Growth] Product-market fit 탐색을 위한 실험 설계 및 A/B test 수행 경험이 있으신 분

    실제 PM으로 채용 공고 검색 시에도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프로덕트 매니저' 키워드로 채용공고를 검색하였더니 관심있는 분야가 나오지 않아 PM/PO 직무로 채용 공고를 확인했다.

     

    (PMB 9기 동기분의 질문을 통해 한국에서는 PO가 PM의 총괄 책임자의 직책으로 명명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M 직무 채용 공고 확인할 때는, PM/PO 채용 공고를 확인하면 될 것 같다.)

     

    공통적으로 PM이 하는 업무와 필요 역량

     

    트렌비/미리캔버스/신상마켓 3가지의 채용 공고를 정리하여,
    공통사항을 노란색/빨간색으로 표시하였더니 PM이 하는 일과 필요 역량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었다.
    고객을 위한 제품 서비스를 기획하고 끊임없는 가설과 검증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업무를 도맡아 진행한다.

     

    <PM이 하는 일>

    - 제품 서비스 기획 및 구현

    - 디자인팀, 개발팀과의 협업 진행
    -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필요 역량>
    - 사업 관련 업무 경험

    - PM 관련 업무 경험

    -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발, UX 디자인 지식)
    - 데이터 분석 능력
    - 관련 업무 툴 사용 능력

     

    PM에 대한 나의 한 줄 정의

    즉, Product Manager는
    모든 이해관계자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최선의 방법을 끊임없이 찾는 해결사이다.

     


    최근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PM의 업무 역량

    이 외에도 다른 PM 채용공고를 확인했을 때, 최근 중요하게 생각되는 PM의 업무역량은 다음과 같다.

    (앞서 말했던 PM의 필요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래의 역량이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

    1. 업계 트렌드에 대한 지식
      현 업계 관련한 트렌드에 대해 이해가 높고, 기술에 대해 유망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보유
      (참고 : 유튜브, [우아한인터뷰] 우아한인턴 채용설명회_직무소개_PM_우아한형제)
    2. 업무 학습 능력
      높은 문제 해결 능력과 다양한 업무 툴에 대한 이해 (업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예 : 제플린, 슬랙, 피그마, 지라, SQL, 어도비XD 등)
    3. 애티튜드
      내가 확인한 모든 PM 공고에서 '커뮤니케이션/소통 능력'이 확인 됨
      -> 기본적인 비즈니스 매너뿐 아니라 좋은 애티튜드가 필요

     

    오늘 PM의 역사부터 역할과 필요 역량에 대해 공부하고 PM에 대한 정의도 나름대로 내려보았다.

     

    하지만, 아직 PM이란 직종이 나에게는 뜬구름 잡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필요성도 중요성도 충분히 알겠으나 주변에 해당 직종의 사람을 만나보지 못해서 어색하기만 느껴지는 것 같다.

    3년 뒤의 나는 어떠할까?

    아직 3년 뒤의 나를 예상하긴 어렵다. 지금의 나도 3년 전의 내가 생각하던 모습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지금의 내가 원하지 않았던 모습도 아니다.

    나는 창업동아리로 새로운 도전을 했었고, 1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AE라는 직종에도 발담구었다.
    아직 어떠한 길을 나아갈지 예상할 수 없을 뿐이다.

    미래를 기대하고 꿈꾸는 것보다 현재를 최선을 다 해 열심히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매순간 최선을 다 할 것이고, 내가 이룰 수 있는 최상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노력할 것 이다.

     

    그렇게 노력하다보면 새로운 도전을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Designed by Tistory.